[주식용어] 5편. 일반주당순이익 vs 희석주당순이익!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차이점

안녕하세요! ⭐경제, 재테크 블로거 VICYAC(빅약)⭐입니다!!
주식을 투자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단어 중 하나가 EPS(주당순이익)입니다.
EPS는 기업이 1주당 벌어들이는 이익을 의미하는데요.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 그런데 !!!! EPS에도 종류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일반주당순이익(EPS)과 희석주당순이익(Diluted EPS)의 차이점,
그리고 이를 계산할 때 중요한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와 희석가중평균유통주식수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

1️⃣ EPS(주당순이익)란?
EPS는 기업이 주주 한 명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돌려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이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좋은 신호입니다.
✅ EPS 공식
EPS=순이익(Net Income)/주식 수(가중평균유통주식수)

📌 예시)
어떤 기업이 한 해 동안 1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가정해볼게요.
그리고 1억 주의 주식이 유통되고 있다면, EPS는 이렇게 계산됩니다.
100억/1억=100원
즉, 이 기업의 주식 한 주당 이익은 100원이라는 뜻입니다!
2️⃣ 일반주당순이익(EPS) vs 희석주당순이익(Diluted EPS)
💡 일반주당순이익(EPS)란?
일반적인 주식 수(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로 계산한 EPS를 의미합니다.
즉, 현재 유통되고 있는 주식만 고려한 값입니다.
💡 희석주당순이익(Diluted EPS)란?
"희석"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미래에 주식 수가 늘어날 가능성을 반영한 EPS입니다.

주식 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 스톡옵션(Stock Options) 행사
- 전환사채(Convertible Bonds) 발행
- 신주인수권 행사
EPS는 원래 높을수록 좋은데, 만약 주식 수가 많아지면?
👉 EPS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그래서 희석된 EPS를 따로 계산해서, 미래의 수익성을 더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입니다.
3️⃣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 vs 희석가중평균유통주식수
주식 수는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계산할 때 **"가중평균"**을 사용합니다.
개념
|
설명
|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
|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평균 주식 수
|
희석가중평균유통주식수
|
전환사채, 스톡옵션 등을 포함한 잠재적 주식 수
|
✔️ 일반 EPS =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 기준
✔️ 희석 EPS = 희석가중평균유통주식수 기준
즉, 희석가중평균유통주식수는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보다 항상 크거나 같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식 수가 늘어나는 경우만 고려하기 때문)
4️⃣ 투자할 때 EPS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 EPS를 활용하는 3가지 방법

✅ 1) EPS 증가 추세를 확인하자!
EPS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기업이 꾸준히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이니까요!
✅ 2) 희석 EPS와 일반 EPS 차이를 보자!
- 차이가 크면? 미래에 주식 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 희석 EPS가 너무 낮으면? 주주들에게 돌아갈 이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 3) 같은 업종의 경쟁사와 비교하자!
EPS는 개별 기업뿐만 아니라, 동일한 업종 내 다른 기업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EPS를 비교하면 수익성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겠죠?
5️⃣ 실전 예제: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EPS 비교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EPS 비교
기업
|
순이익(억 원)
|
일반가중평균유통주식수(억 주)
|
일반 EPS(원)
|
희석 EPS(원)
|
삼성전자
|
10조
|
60억
|
1,667원
|
1,500원
|
SK하이닉스
|
4조
|
20억
|
2,000원
|
1,800원
|
👉 삼성전자는 일반 EPS가 낮지만, 희석 EPS와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입니다.
👉 SK하이닉스는 일반 EPS가 높지만, 희석 EPS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 미래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단순히 EPS 수치만 보는 것이 아니라, EPS의 변화와 희석 가능성까지 함께 고려해야 좋은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 결론: EPS를 잘 이해하면 투자 실력이 향상된다!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해볼까요?
📌 핵심 정리
✅ EPS = 기업의 1주당 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
✅ 일반 EPS vs 희석 EPS 차이점 이해하기
✅ 희석 EPS가 일반 EPS보다 낮으면 주식 수 증가 가능성이 크다!
✅ EPS는 단독으로 보기보다는 매출, 부채, 성장성과 함께 분석해야 한다
EPS를 제대로 이해하면,
기업의 실제 수익성을 파악하는 능력이 생기고, 투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유익하셨다면, 블로그에 오셔서 공감과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블로그에 자주 찾아와 주시면 더욱 가치 있는 정보로 보답하겠습니다.
소중한 시간 내어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By VICYAC(빅약)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vic_yac
📢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vicyac.s
📢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vicya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