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재테크 블로거** VICYAC(빅약)**입니다.
미국 정부가 17억 달러(약 2.3조 원) 규모의 비트코인을 처분하는 과정에서 약 1억 1,400만 달러(약 1,500억 원)의 추가 수익 기회를 놓쳤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비트코인을 보유만 했어도 엄청난 차익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정부의 성급한 매각이 이런 결과를 초래했다는 분석인데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출처 : 비지니스포스트
🚨 미국 정부, 비트코인을 너무 빨리 팔았다?
미국 정부는 범죄와 관련된 비트코인을 압수한 후 이를 시장에서 매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특히 이번 사례는 다크웹 마켓플레이스 '실크로드'와 관련된 비트코인들이었는데요.
- 2023년 3월, 미국 정부는 비트코인 9,861개를 한꺼번에 매도
- 당시 매도 가격은 약 2억 1,600만 달러
- 이후 비트코인 가격 급등 → 같은 코인을 보유했다면 1억 1,400만 달러 추가 수익 가능
비트코인을 팔지 않았다면 지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던 셈이죠.
📊 비트코인 가격 상승 추이
날짜
|
비트코인 가격(USD)
|
2023년 3월
|
약 21,800달러
|
2024년 3월
|
약 73,000달러
|
1년 만에 3배 이상 급등한 비트코인 가격!
정부가 매도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요?
⚖️ 정부의 고민: 보유 vs 매각
미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보다 빠르게 매각하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전략이 최선이었을까요?
▶️ 정부의 고민 포인트
1. 가격 변동성 :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커 장기 보유 리스크 존재
2. 법적·규제 이슈 : 정부가 보유하면 "공적 자산"이 되는 부담
3. 시장 영향 : 대량 매도가 시장에 미치는 충격 고려
하지만 결과적으로 정부는 시장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했고, 엄청난 추가 이익을 놓쳤습니다.
🧐 전문가 의견: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인가?
이제 많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간주합니다.
실제 금과 비교하면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항목
|
금(Gold)
|
비트코인(Bitcoin)
|
희소성
|
제한적(채굴 가능)
|
2,100만 개 한정
|
변동성
|
낮음
|
높음
|
보관 방식
|
물리적
|
디지털
|
기관 투자
|
활발
|
점차 증가
|
비트코인의 가치가 점점 안정화되면서, 앞으로 정부도 단순 매각이 아닌 보유 전략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 빅약의 생각 : 정부도 ‘장기 투자자’가 될 수 있을까?
미국 정부가 성급하게 매각하지 않았다면, 훨씬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실수라기보다, 기존의 ‘빠른 처분’ 원칙이 변화해야 한다는 신호일 수 있죠.
✅ 비트코인이 점점 가치 저장 수단(디지털 금) 으로 인정받는다면,
✅ 앞으로 정부도 매각 타이밍을 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요?
👉 도움이 되셨나요? 유익한 자료가 되었다면 공유하기를 눌러 친구들에게도 알려주세요!
✍️ by VICYAC(빅약)
📢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vic_yac
📢 티스토리 블로그 : https://vicyac.tistory.com/
'★뉴스 > 해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뉴스] 트럼프, 파월 연준 의장 해임 가능성 검토... 미국 경제 위기 신호탄? (2) | 2025.04.20 |
---|---|
[해외뉴스]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인도 통신업계📡 판도 흔드나?" (0) | 2025.03.23 |
[해외뉴스] 미국, 달걀 대란! 유럽까지 '수입 요청' (0) | 2025.03.21 |
[해외뉴스]미국 연준, 금리 인하 신호 줄까? 시장이 주목하는 FOMC 회의 전망 (2) | 2025.03.20 |
[THINKING] 구글, 32조원에 클라우드 보안 기업 인수... AI 시대 '데이터 보안' 선점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