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활용 설정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목차
1. 주요지수 마감시황
2. WORLD Finviz 지도
3. S&P500 Finviz 지도
4. 🧮 섹터별ETF 등락률 및 종가
5.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등락률
6. 📊 이번주 실적발표 기업
7. 😨 Fear & Greed Index (공포지수)
8. S&P500 VIX 선물 시세
9. S&P 500 PE Ratio(S&P500 멀티플 비율)
10. 📅 미국경제캘린더
11. 미국 국채 10년물
12. ⛏️ 금속 시세 (금·은·구리)
13. 🛢️ WTI 시세
14. 💲 달러 환율 및 달러 인덱스
15. 미국 기준금리, 한국 CD금리, KOFR, SOFR 금리
1. 주요지수 마감시황
출처 : 네이버증권
S&P500 지수 : 5912.17 전일대비 +1.11%
나스닥 지수 : 19175.87 전일대비 +1.43%
다우 지수 : 42215.73 전일대비 +1.19%

💡 경제의 주요 지표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자료
2. WORLD Finviz 지도
출처 : Finviz

💡세계 Finviz 맵: Finviz에서 전세계 주식 시장 성과를 볼 수 있는 차트
3. S&P500 Finviz 지도
출처 : Finviz

💡S&P 500 Finviz : S&P 500 성과 차트를 확인
MSFT(마이크로소프트): +0.85% 소폭 상승
NVDA(엔비디아): +2.59% 상승
AMD: +6.83% 급등
PLTR(팔란티어): +2.37% 상승
AMZN(아마존): +2.06% 상승
TSLA(테슬라): −2.35% 하락
HD(홈디포): +0.97% 소폭 상승
GOOGL(구글): +0.96%
META(메타): +1.96%
NFLX(넷플릭스): +2.04%
V(비자): +2.29%
JPM(제이피모건): +1.07%
BAC(뱅크오브아메리카): +0.78%
WFC(웰스파고): +1.43%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 , 금융섹터가 상승, 에너지 섹터 하락, 소비자 순환섹터는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임.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로 섹터별 엇갈림 흐름이 보입니다.
4. 🧮 섹터별ETF 등락률 및 종가

💡섹터별 ETF : 섹터별 ETF 등락 확인
XLK (Technology, 정보기술) ,XLV (Health Care, 헬스케어), XLF (Financials, 금융), XLC (Communication, 통신 서비스), XLY (Consumer Discretionary, 소비재(경기민감)), XLP (Consumer Staples, 필수소비재), XLI (Industrials, 산업재), XLE (Energy, 에너지), XLB (Materials, 소재), XLU (Utilities, 유틸리티(공공요금)), XLRE(Real Estate, 부동산)
오늘자 미국시황 정리
오늘 증시는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 연준의 신중한 금리 정책, 완화된 금융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기술주 주도로 상승한 장.
하지만 소비자 심리는 여전히 약화, 다음 주 발표되는 1분기 GDP 확정치 및 5월 PCE 물가 지표가 금리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단기 수익에만 집중하기보다, 분산 투자와 지표 중심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
5.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등락률
출처 : Companies Market Cap

6. 📊 이번주 실적발표 기업 (미국일자 기준)
출처 : Investing

💡실적발표기업 : 녹색 예상치 상회, 빨간색 예상치 하회
7. 😨 Fear & Greed Index (공포지수, 투자 심리 지수)
출처 : CNN Markets
현재 지수 : 56

💡시장 심리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 투자 결정에 참고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0은 극단적 공포, 100은 극단적 탐욕
8. S&P500 VIX 선물 시세 (15 적정)
출처 : Investing
현재 VIX 시세 : 19.28

💡 VIX는 시장의 변동성을 측정, 높은 값은 불확실성. (평균 15~17사이 안정 구간)
9. S&P 500 PE Ratio(S&P500 멀티플 비율)
출처 : Multpl
현재 S&P 500 PE 비율 : 37.13

💡PE 비율은 주식 가치 평가에 중요한 지표, 시장의 과열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
* 쉴러비율 : PER (Price to Earnings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EPS)
(현재 주가가 기업의 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 현재 33이면 투자금을 회수하는데 33년이 걸걸린다는 뜻)
➡️ 쉴러비율 장기평균 16~18
* 현재 34인근 . 역사적으로도 매우 높은수준. 변동성을 고려하여 투자에 참고하세요.
10. 📅 미국경제캘린더
출처 : Investing

*미국 시장은 새벽 CFTC 보고서가 원유‧금 순매수 확대, 나스닥‧S&P 선물은 순매도로 전환된 흐름을 보여 ‘자금 이동’을 시사
같은 날 1분기 경상수지 적자는 4,502억 달러로 18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해 성장 한계를 드러남.
4월 주택가격지수 상승률(0.8% MoM, 3.4% YoY)이 완만해지며 금리 부담이 확인.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도 93.0으로 급락, 소비 심리 냉각.
연준 의장 파월은 의회 청문회에서 ‘경로는 열려 있다’며 금리 인하 시점을 유보
11. 미국 국채 10년물
현재 채권 수익률 : 4.296전일대비 +0.14%
💡주가와 반대, 금리가 오르면 국채 가격 하락, 금리가 내리면 국채가격 상승
12. ⛏️ 금속 시세 (금·은·구리)
금 시세 : $3360.90 전일대비 -0.05% (실시간 시세로 변동됨)
은 시세 : $35.888 전일대비 +0.05% (실시간 시세로 변동됨)
구리 시세 : $4.8960 전일대비 -0.09% (실시간 시세로 변동됨)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 , 경제 불확실성 시 투자 수요 증가
* 실시간 변동으로 금액 변동될수 있음.
13. 🛢️ WTI 시세
현재 유가 : $65.10 전일대비 +1.15%
💡유가 오르면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인플레이션을 일으킴
14. 💲 달러 환율 및 달러 인덱스
달러 환율 : $1 = 1359.00원
달러 인덱스 : 97.86
💡환율과 인덱스는 국제 무역과 투자에 큰 영향
15. 미국 기준금리, 한국 CD금리, KOFR 금리, SOFR 금리
미국국 기준 금리 : 4.5%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관리에 중요한 역할
CD 금리 : 2.57%
KOFR 금리 : 2.543%
💡 금융 상품의 기준 지표 , ETF들중 금리추종상품 ETF가 위의 수치에 따름
SOFR 기준 금리 : 4.29%
💡SOFR은 미국의 무위험채권

행복한 하루 되세요.
태그 : #미국주식시황 #마감시황 #미국주식 #미국증시 #미국3대지수 #나스닥 #다우지수 #섹터별ETF #애플 #마소 #테슬라 #엔비디아 #아마존 #구글 #메타 #버크셔헤서웨이 #실적발표 #공포지수 #VIX지수 #미국국채 #금 #WTI #환율 #금리 #경제캘린더 #VICYAC
'★뉴스 > 미국증시마감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마감시황미국증시 마감시황 (2025년 05월 01일) 증시,환율,금리,채권,유가,금 등 (4) | 2025.05.01 |
---|---|
미국증시 마감시황 (2025년 04월 30일) 증시,환율,금리,채권,금 등 (4) | 2025.04.30 |
미국증시 마감시황 (2025년 04월 29일) 증시,환율,금리,채권,금 등 (10) | 2025.04.29 |
미국증시 마감시황 (2025년 04월 25일) 증시,환율,금리,채권,금 등 (3) | 2025.04.25 |
[미국증시마감시황] 2025년 4월 24일(증시,환율,금리,채권,금,이슈뉴스 등) (4) | 2025.04.24 |